당귀차/당귀장아찌/당귀쌈/당귀의 효능과 영양성분
당귀의 효능과 영양성분
당귀(當歸)의 한자사전을 검색해 보니 當 마땅 당 歸 돌아갈 귀, ‘마땅히 돌아온다’는 뜻입니다. 옛날에 아이를 낳지 못해 소박맞은 부인이 당귀를 먹고 당당하게 돌아갔다는 흥미로운 일화까지 담겨 있습니다.
영양성분표를 보니 이 잎채소 하나에 칼슘, 철, 비타민, 베타카로틴 같은 다양한 성분들까지 알뜰하게 포함돼 있습니다. 여성에게는 명약이라는 당귀, 공부하다 보니 당귀잎채소를 사러 나서게 됩니다. 오늘은 당귀차, 당귀장아찌, 쌈채소로도 손색이 없는 당귀의 모든 것에 대해 정리해 두려고 합니다.
이전에 "종합영양제"라고 할 만한 상추와 당귀를 쌈채소로 함께 먹어도 정말 풍요로운 식탁이 될 것 같습니다.
'종합영양제' 상추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2023.05.06 - [몸▴마음] - 상추 효능, 종류, 영양성분, 신선 보관법, 다양한 레시피
I. 당귀에 대해서
당귀의 정의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며 산지의 습기가 많은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굵고, 강한 향기가 있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의 분포 지도를 보면 전국에 자생하는 걸로 나옵니다. 전통지식 문헌 정보를 보면 <해동농서>나 <향약집성방> <농정서> 등에도 당귀의 사용법에 대한 언급이 자주 보입니다.
당귀의 줄기는 추대가 되면 발생되고 길이는 1.0~1.5m 정도로 곧게 자랍니다. 직경은 2.0~3.0㎝로 굵고 색은 자줏빛을 띠며 줄기에는 5~7개의 마디가 있고, 각 마디에서는 가지가 자라, 여러 개의 가지를 형성합니다.
당귀의 잎은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다시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는 2~3회 우상 복엽으로,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계란 모양이고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입니다.
당귀의 꽃은 정상적인 생육상태하에서는 파종 후 3년 차에 개화가 됩니다. 꽃은 복산형 화서(우산 모양이 겹으로 피는 모양)이며, 주경과 분지의 끝부분에 꽃이 핍니다. 꽃은 7~8월에 자색 겹산형화서(산형 화서의 꽃대 끝에 다시 부챗살 모양으로 갈라져 피는 모양)의 꽃이 피며 10월에 결실을 맺습니다.
당귀의 뿌리는 부정형으로 주근이 뚜렷하고 뿌리의 형태는 생육이 진전되면서 변화하는데, 첫 2년간은 영양생장 단계이고, 3년 차에 생식생장단계가 됩니다. 추대 개화(꽃눈 형성하고 꽃이 개화) 후에는 뿌리 부분의 영양물질이 대량으로 소모되어, 체질상으로 변질되며 약용적 가치가 사라진다니 이 점이 많이 아쉽습니다.
당귀의 역사
당귀는 효능이 뛰어난 우리나라의 주요 한약재입니다. 당귀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재배되는 참당귀와 일본에서 자라는 일당귀(왜당귀), 중국에서 자라는 중국당귀로 분류됩니다. 당귀는 역사적으로도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아주 중요한 약재로 취급되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1406년 명나라의 황제가 조선에서 동불(銅佛)을 받은 답례로 당귀를 포함한 18종의 약재를 왕실에 보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1434년 세종임금 때에는 전의감(典醫監)이 당귀 채취 방법에 대하여 강원도 영월에서 나는 당귀는 서리를 한두 차례 맞은 뒤에 흙을 씻지 말고 그대로 수확하여 상납하도록 하였다고 할 정도로 역사적으로도 아주 중요한 약재로 취급되었습니다.
2. 당귀의 효능과 영양성분
당귀의 종류와 주요 특성
흔히 맡을 수 있는 '한약 냄새'의 정체가 바로 당귀입니다.
약재로 쓰는 당귀는 참당귀 뿌리인데, 이 뿌리를 건조한 것은 노다케닌 및 총데쿠르신 및 데쿠르시놀안겔레이트의 합 6.0% 이상을 함유합니다. 참당귀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노다케닌에 대한 연구에서 알러지 반응 억제 효과와 비만세포에서의 탈 과립현상 억제 효과가 있었습니다.
약리작용은 활혈 효과, 발암 억제작용, 해열진통작용, 심장, 간장, 비장기능 효과가 있으며, 혈관질환 이용, 조혈기능을 향상해 분만 시 빈혈과 타박 증상에 효과가 있습니다. 데커루신의 약리작용은 폐암 및 간암 세포주 등 암세포에 강한 치사작용을 가진 항암제역할을 하고, 뇌 속에 들어가서 뇌 안에 독성물질인 베타 아미로이드를 감소, 생성 억제로 뇌세포 보호, 치매 예방, 치료효과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혈액 순환과 대사를 활성화시켜 항산화작용은 물론 활성산소 제거로 뇌기능을 활발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당귀는 우리나라의 생약규격집에 수재되어 있습니다. 주요 성분은 정유 0.2% 내외로 프트라이드(phthalide) 화합물, 뷰틸리덴프트라이드(n-butylidenphthalide), 리구스틸라이드(ligustride), 폴리아세틸렌계인 프라카리놀(flacarinol), 쿠마린계인 스코폴레틴(scopoletin), P-cymen, 사프롤(safrol), b-sitosterol, 니코틴산, 엽산 등이 함유되어 있고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s)가 함유되어 있어 면역학적 기능, 항종양활성등의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약리작용은 부인의 허약체질 보혈, 자양, 진통, 진정, 강장, 물질대사 촉진, 자궁 운동 촉진, 면역기능을 가지고 있어 항암제 등에 이용됩니다. 그리고 빈혈, 보혈, 진통, 월경불순 등 부인병 등에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중국당귀는 휘발유과 비휘발성인 두 가지 유형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휘발유는 약 0.4%를 점하고 그중 중성유는 총유의 80%를, 휘발성 정유는 0.4~0.7%를 함유하는데 뷰틸리딘프트라이드(Butylidenephthalide), 뷰틸프트라이드(butylphthalide), 리구스틸라이드(ligustilide), 페롤산, 니코틴산, 석신산 등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13종의 아미노산과 23종의 미량원소 비타민 B12와 비타민 A, 카로티노이드(0.675%) 같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약리작용은 자궁평활근을 흥분시키거나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심근혈액 공급을 증가시키고, 간세포를 보호하고 간장의 일부 기능을 회복하는 작용을 합니다.
당귀 주요 처방전
사물탕(四物湯)
▶ 당귀(當歸) 8.0 / 숙지황(熟地黃) 8.0 / 천궁(川芎) 8.0 / 작약(芍藥) 8.0g
▶ 영기(營氣)와 위기(衛氣)를 조절. 기혈(氣血)에 영양을 공급.
십전대보탕
▶ 빈혈, 허혈증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식욕부진과 면역능의 저하로 인한 만성염증에 시달리고, 허약할 때 중추신경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대사능을 증진함으로써 비특이적 면역능을 강화한다.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허약체질을 개선한다.
당귀산
▶ 당귀, 천궁, 작약, 황금을 각각 30g, 백출 15g
▶ 월경이 고르지 않고 혹은 3~4개월이 되어도 월경이 오지 않고 혹은 한 달에 두 번씩 월경이 오거나, 허리와 배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당귀작약탕
▶ 당귀(當歸) 3.0g, 작약(芍藥) 16.0g, 복령(茯笭) 4.0g, 백출(白朮) 4.0g, 택사(澤瀉) 8.0g, 천궁(川芎) 8.0g
▶ 혈관평활근의 장력(張力)이 약하고, 혈관운동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되지 못하여 두통, 현기증, 어지러움, 두중감(頭重感)이 있고, 조혈기능이 약하여 혈허(血虛)한 데다 신장배설이 원활하지 못하여 세포간질(間質)에 부종이 있으며 내장(內臟) 평활근의 장력부족으로 요통, 복부팽만감 등을 나타낼 때 내장평활근의 장력을 강화하여 요통, 소화불량, 복부팽만감을 완화한다.
3. 당귀잎채소 주요 영양성분
당귀에는 100g 당 43칼로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기에는 0.4g의 지방과 3.2g의 단백질, 그리고 8.8g의 탄수화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수분이 86.3g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전체의 87%에 해당합니다.
이외에도 당귀에는 대표적으로 칼륨, 인, 비타민B3(나이아신), 베타카로틴 등의 미네랄과 아미노산, 비타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네랄 성분 가운데 칼륨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인과 칼슘, 철 등의 미네랄 함량이 높습니다.
구분 | 칼로리 | 43kcal |
3대 영양소 | 단백질 | 3.2g |
지방 | 0.4g | |
탄수화물 | 8.8g | |
미네랄 |
칼슘 | 80mg |
인 | 92mg | |
나트륨 | 3mg | |
철 | 17.8mg | |
칼륨 | 453mg | |
비타민 |
비타민A | 18μg |
비타민B1 | 0.2mg | |
비타민B2 | 0.16mg | |
비타민B3(나이아신) | 0.7mg | |
비타민D | 43μg | |
베타카로틴 | 211μg |
당귀차 끓이기
건조된 당귀를 물 2L에 20~30G 정도 넣고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인 후 약 한 시간 정도 달여서 마시면 좋습니다. 하루 200ml잔 2~3잔 정도가 적당하지만 개인의 체질상 전문가와 상의 후 양을 조절하시길 권합니다.
당귀는 여성을 위한 약초라고 할 만큼 각종 부인병에 효과적입니다. 여성의 냉증, 혈색 불량, 산전·산후의 회복, 월경 불순에 좋으며, 오랫동안 복용하면 손발이 찬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당귀장아찌 담그는 법
재료 : 당귀잎 400g, 간장 200ml, 설탕 150g, 매실청 200ml, 식초 200ml, 물 500ml
1. 냄비에 간장, 매실청, 설탕, 물을 넣고 끓입니다. 2. 당귀를 두 세번 깨끗이 씻어 채반에 건져줍니다. 3. 소스가 끓으면 식초를 넣고 한번 더 끓입니다. 4. 보관 용기에 당귀를 넣고 끓인 소스를 부어줍니다. 5. 바로 먹어도 좋고 냉장 보관하며 먹어도 좋습니다.